소방청, 2023 산림인접 산불취약지 분석 결과 발표공간 단위별 건축물, 인구, 소방용수시설, 날씨, 산림면적 등 데이터 활용
|
분석결과 소화전과 비상소화장치를 포함한 소방용수시설의 경우 서울이 62만8천개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기 18만 8천개, 경북 12만 3천개, 경남 11만8천개 순이었다.
10㎢ 단위 면적별 소방용수시설 분포 현황은 서울, 부산, 인천, 광주 순이었고, 인구 1,000명 당 소방용수시설 분포 현황은 전남이 가장 많았고, 서울, 전북, 강원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는 시도 지역의 전체 면적 대비 소방용수시설 현황에 해당하는 것으로 소방용수시설 확충이 필요한 산림지역에 한해서는 보다 정밀하한 데이터 분석이 요구된다.
이에 산림면적과 인구수, 건축물 수 등을 활용한 산불취약지 분석 결과, 다른 시도에 비해 인구는 적고 산 비율이 높은 경북, 강원, 충북 지역이 산불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건물과 인구수는 많지만 산 비율이 적은 인천의 경우 산불 화재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세부적으로는 읍면동 단위 산불취약지수를 확인도 가능하며 `23년 4월 대형 산불이 발생했던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산불취약지수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소방청은 해당 분석결과를 산불 발생시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 대한 비상소화장치, 소화전 확충을 위한 기초데이터로 활용할 예정이며, 향후 추가 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더욱 고도화하여 예방 집중지역 선정 등 효과적인 예방정책 수립에 활용할 계획이다.
최재민 소방청 소방분석제도과장은 “이같은 데이터 분석은 소방용수시설 확충지역 선정 및 산불취약지에 대한 예방‧대비 체계 구축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향후 기상정보와 같은 예측 변수의 확장을 통해 분석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는 등 적극행정을 통해 대국민 활용 정보 제공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