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녹위, 자원 순환경제로 지속가능한 미래 모색‘탄소중립·녹색성장 부산 포럼 개최’…탄소중립 협력 방안 논의
|
유엔 플라스틱 협약은 2022년 3월 유엔 환경총회(UNEA)가 플라스틱 오염을 종식하기 위한 법적 구속력 있는 협약을 개발하기로 합의해 첫 회의를 우루과이 푼타델에스테에서 열었다.
순환경제는 기존의 자원 채취-생산-소비-폐기의 직선경제 산업구조를 대체하는 경제모델로, 원자재를 이용한 제품 생산부터 유통, 소비, 수거까지 모든 과정을 순환해 자원을 재사용하고 폐기물을 최소화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재활용 산업 육성, 기술 혁신 촉진, 순환 경제 시장 확대에 주력하고 있으며, 국제 협력을 강화해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국내 기업들은 폐플라스틱, 폐배터리 재활용 등 신기술 개발을 통해 순환경제 시장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이날 포럼은 보스턴컨설팅그룹의 알렉산더 마이어 줌 펠데 파트너의 ‘자원순환 고리의 구축을 통한 번영의 재설계’라는 주제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지속 가능한 자원관리를 위한 정책 방향, 산업계 대응 과제, 부산시 대응 방안 등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다.
알렉산더 마이어 줌 펠데 파트너는 순환경제 도입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35% 이상 줄일 수 있으며, 한국의 순환경제 시장 잠재력은 2030년까지 1000억 달러 이상 성장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아울러, 한국 사회와 기업이 경제적 가치 창출과 지속가능성 향상이라는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기회라며, 이를 위해 정부는 기업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인센티브를 확대해야 하며 기업들은 더 적은 원자재(virgin resources)로 더 많은 경제적 기회를 창출하는 데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민·관·산·학의 협력 방안을 논의하며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들이 대기업의 자원과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가 중재 역할을 강화하고, 세금 혜택이나 규제 완화 등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김상협 위원장은 개회식에서 “자원 순환경제는 단순한 경제적 효용성을 넘어 미래 세대를 보호하는 핵심 전략”이라고 강조하고 “이번 포럼을 통해 지역사회와 정부, 산업계가 협력해 혁신적인 자원 순환경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구현해 나가는 데 중요한 걸음을 내디딜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부산에서 열리는 유엔 플라스틱 협약 정부간 협상위원회에서도 대한민국이 이러한 순환경제 모델을 글로벌 무대에서 선도적으로 제시하고, 글로벌 환경 리더로서 기후위기 대응에 앞장서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