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데일리

정부의 13개 정보시스템, ‘클라우드 네이티브’로 전환

행정서비스 안정적 제공…이용자 폭증 때 용량 4.5배 자동 확장
시스템 중단 시간 95% 감축·서비스 요청처리 시간 26% 단축도

김세연 | 기사입력 2024/10/24 [20:50]

정부의 13개 정보시스템, ‘클라우드 네이티브’로 전환

행정서비스 안정적 제공…이용자 폭증 때 용량 4.5배 자동 확장
시스템 중단 시간 95% 감축·서비스 요청처리 시간 26% 단축도

김세연 | 입력 : 2024/10/24 [20:50]

정부의 13개 정보시스템이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로 전면 전환된다. 이럴 경우 평균 시스템 중단시간은 95% 감축, 서비스 요청처리 시간 26% 단축, 이용자 폭증 때 용량 4.5배 자동 확장 등으로 행정서비스가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제공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24일 500억 원을 투입해 국토정보 플랫폼, 고용산재보험 서비스 등 10개 기관의 13개 정보시스템을 클라우드 네이티브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클라우드 네이티브는 서버나 저장소 등 IT자원을 필요한 만큼 활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한 정보시스템 구축 방식이다.

 

▲ 13개 정보시스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개요.(정보그림=행정안전부)  ©



정보시스템 설계 단계부터 기능분리, 자동확장, 자동배포 등 클라우드 기술을 적용해 시스템의 안정과 확장, 신속을 최대한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방식으로 시스템을 전환하면 장애 또는 서비스 변경작업에 따른 정보시스템의 중단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 더욱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특정 기능에 사용자가 몰려 부하가 발생해도 자동으로 처리용량을 확장해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여러 해외 정부·기업이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도입했으며 국내 기업들도 도입을 확대하는 추세다.

 

이번에 전환하는 시스템은 지난해 수요조사를 거쳐 선정했으며, 행안부는 10개 기관 13개 시스템을 클라우드 네이티브 방식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전환 대상은 국민 수요가 많고 24시간 안정적인 가동이 필요한 공공 시스템 중에서 선정했다.

 

이번 사업은 각 시스템을 통째로 클라우드로 단순 이동하는 방식(Lift & Shift)이 아니라, 클라우드 특징인 안정과 확장성 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여러 개 작은 응용프로그램으로 분리해 전환하는 방식(MSA)으로 추진한다.

 

13개 정보시스템은 사전 컨설팅 등을 통해 시스템당 평균 9개의 작은 응용프로그램으로 분할되어 클라우드 네이티브 방식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이 이뤄진 시스템들은 ▲평균 시스템 중단시간 95% 감축 ▲서비스 요청처리 시간 26% 단축 ▲이용자 폭증 때 용량 4.5배 자동 확장 등이 이뤄져 행정서비스를 더욱 빠르고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행안부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이후에도 성과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사업 성과관리 지표를 만들어 지속해서 관리할 예정이다.

 

아울러,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개별적으로 도입하는 기관도 자체적으로 성과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해당 지표를 전 행정·공공기관과 공유할 계획이다.

 

고기동 행안부 차관은 “새로운 기술의 도입을 통해 디지털플랫폼정부로 한발짝 더 나아갈 수 있게 됐다”고 밝히고 “클라우드 네이티브 도입으로 디지털정부 서비스를 한층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